
퓨어 파우더
높은 용해성, 즉각적으로 섞임
부드러운 섬유질
USDA 올가닉
GMP 품질 보증
식이 보충제
베지테리안 상품
Quality Assurance International 올가닉 인증
NOW 올가닉 아카시아 파이버 파우더는 천연의 순수한 수용성
식이 섬유질로 아카시아 나무의 검에서 생산되었습니다.
과학적인 연구는 식단의 일부로써 수용성 섬유질은 장의 규칙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카시아 파우더는
또한 건강한 장내균을 지원하는 훌륭한 프리바이오틱(prebiotic)
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는 발효를 늦추고,
가스와 붓기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아카시아 파우더는 잘 받아들여집니다.
NOW 올가닉 아카시아 파이버 파우더는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GI 자극물 또는 자극제를 함유하지 않습니다.
제품 사용법
식이보충제로 하루에 1개의 정확한 테이블 스푼을 적어도 8온즈의 물
또는 주스에 섞어서 복용.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하룻동안
충분한 양의 수분을 섭취. 섬유질에 민감한 사람들은 매일 1 티스푼으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1 테이블스푼으로 증량.
이 상품을 NOW Gr8-Dophilus, Triphala과 Detox Support와 함께 복용하는 것을 고려.
성분
100% pure. Contains no sugar, salt, starch, yeast,
wheat, gluten, corn, soy, milk, egg, shellfish or preservatives.
Vegetarian/vegan product.
식이섬유는 신체에 흡수되지 않으므로 영양학적으로는 가치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기능성식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 및 수분 등 6대 영양소와는 다른 생리기능을 인정하여 '제7의 영양소'라고 부르고 있다.
식이섬유는 다당류와 다당류 유도체의 고분자 물질로 보수성, 용해성, 점질성, 양이온 교환성, 흡착성 등의 특성이 있다. 즉 식이섬유는 일정량의 물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능력과 보유 수분에 의한 체적 증가 및 팽윤성 등의 특징이 있다. 식이섬유가 보유할 수 있는 수분량은 식이섬유의 종류와 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다. 셀룰로스, 리그닌 등은 보수성이 낮으며 펙틴, 구아검 등은 높다.
식이섬유라는 용어는 1953년 힙슬레이(Hipsley)가 섬유질이 식품 중의 불소화성 섬유질의 전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것에서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의 세 성분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식이섬유라는 용어를 제안하였다.
당초 식이섬유는 식사 중의 섬유질이란 의미뿐이었으나 1972년 트로웰(Trowell)은 생리적 의미를 갖는 개념으로 식이섬유를 '사람의 소화효소로 소화되지 않은 식물세포의 구조잔사'로 정의하였다. 그 후 식물의 저장물질 중 생리활성을 가진 난소화성 다당류 가운데도 유사한 생리작용을 갖는 물질이 발견되어 '식물성 식품뿐만 아니라 동물성 식품까지 포함하여 인간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식품 중 고분자 난소화 성분의 종합체'로 정의하였다.
1985년 UN의 WHO(세계보건기구)와 FAO(식량농업기구)에서는 '합의된 방법으로 측정한 신체의 소화관 고유의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지 않는 식용 동식물의 구성 성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물에 녹으면 물과 결합하여 점도가 높은 졸(sol)이 되어 식품성분의 확산 속도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점도는 구조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식이섬유는 구성 성분에 카복실기와 유산기를 가지고 있어 양이온을 흡착하며 담즙산, 콜레스테롤, 독성물질 등을 흡착하는 능력도 있다.
식이섬유의 생리적 기능성에는 변비, 치질, 대장암, 충수염 등의 예방에 효과적이며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순환기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혈당치의 상승이 억제되어 당뇨병에도 좋으며, 비만 방지 효과도 있다.
식이섬유의 효능 중에서 일찍부터 주목되어 온 것은 변비의 예방 작용이다.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는 밀기울을 변비 환자에게 투여하였다. 섭취하는 식품에 따라 장기 내 미생물군은 변화를 받는다. 대장에는 1g 중 10억 이상의 미생물이, 대장 전체에는 약 100종류, 100조 개도 넘는 미생물이 존재한다. 위와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고 대장으로 이송된 식이섬유는 대장 내의 미생물에 큰 영향을 준다.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장내 비피더스균(bifido bacterium)이 증가한다. 비피더스균은 대변을 좋게 하고 신체의 면역력을 높인다. 또한 식이섬유는 대장암의 발생을 예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식이섬유 [食餌纖維, dietary fiber] (파워푸드 슈퍼푸드, 2010. 12. 11., 푸른행복)







덧글